미술세계/아티스트(32)
-
프리다 칼로, 그녀의 유품들
프리다 칼로, 그녀의 유품들 프리다 칼로, 그녀의 유품들을 통해 조명해 보는 그녀의 스타일은 일반인들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다. '비운의 여류화가'라는 타이틀을 늘 달고 다니는 프리다 칼로, 그녀의 비범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프리다 칼로는 오래전부터 비범한 사람으로 유명했다는 것이 일본 사진가 이시우치 미야코(Ishiuchi Miyako)의 주장이다. 그녀의 그림부터 사랑 이야기, 이국적인 반려동물들, 인상적인 눈썹까지, 칼로의 인생에는 남다른 요소가 가득하다. "하지만 그녀의 평범한 면을 접했을 때, 저의 상상력은 큰 자극과 영감을 받았어요." 이시우치 미야코의 설명이다. 이시우치가 '평범하다'고 한 것은 이 엄청나게 유명한 화가의 삶의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면을 뜻한다. 프리다의 팬을 자처하는 사람들이라..
2015.05.14 -
아이디어가 빛나는 멋진 금속 조각품
아이디어가 빛나는 멋진 금속 조각품 여기 열쇠(Keys)와 동전(Coins)으로 만든 아이디어가 빛나는 멋진 예술작품들이 있다. 호주 출신의 아티스트 마이클(Michael)은 열쇠와 동전을 재활용 해 병(Bottles)과 램프(Lampshades)등의 아름다운 금속 조각품을 만들어 선 보였다. 감상해 보자.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
2015.05.11 -
세계의 아름다움을 담아낸 파노라마 사진 21
세계의 아름다움을 담아낸 파노라마 사진 21 영국의 포토그래퍼 존 채플(John Chapple)은 황홀할 정도로 아름다운 전 세계의 풍경사진을 찍는다. 하지만 그가 항상 계획을 하고 사진을 찍은 건 아니다. 사실 그의 커리어는 사진과는 거리가 먼 곳에서 시작한다. 바로 영국 잉글랜드 남서부 데번(Devon)의 한 뉴스 에이전시에서 처음 일을 한 것이다. 지금은 두 아이의 아빠인 채플은 아이들 다음으로 풍경사진을 사랑한다고 말한다. '제가 가장 열정을 갖고 집착하는 대상은 두 아이입니다. 사진은 그 다음이죠. 사진에 집착한다고 느끼진 않습니다. 하지만 사진을 찍을 때 제가 보는 모든 것을 프레임에 담는 방법이 있죠. 저는 뷰파인더를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풍경사진도 확실히 열정이죠."라고 ..
2015.04.15 -
성기로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
성기로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 프랑스의 예술가 브렌트 레이 프레이저(Brent Ray Fraser)는 자신의 성기로 그림을 그리는 화가이자 행위예술가이다. 사실 그는 성기로 그림을 그리는 첫 번째 예술가는 아니다. 덴마크의 예술가 우베 막스 옌젠(Uwe Max Jensen)은 배우겸 모델인 킴 카다시안을 성기로 그리며 독특한 방법을 이미 사용한 바 있다. 프레이저는 앤디 워홀의 마릴린 먼로, 모나리자 그림을 성기로 재현하기도 했다. 그는 "더 큰 스케일의 그림을 그릴 때에는 성기가 축 늘어진 것이 더 낫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말이다."라고 잡지 바이스(VICE)의 캐나다판에 전했다. 그가 성기를 볼펜 혹은 도장처럼 사용하고자 한다면 완전히 발기했을 때 그림을 잘 그릴 수 있다. 프레이저는 "물감..
2015.04.06 -
일러스트레이터 Christoph Niemann
일러스트레이터 Christoph Niemann Christoph Niemann은 독일 출신의 일러스트레이터다. 사물을 오브제로 이용해 드로잉으로 마무리하는 재치있는 아이디어로 신선하고 창의력 넘치는 작품을 만들어 낸다. Christoph Niemann 그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 작품들을 감상해 보자.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ㅡ,.ㅡ
2015.03.06 -
한국 사진가가 경고하는 몽골 사막의 급격한 기후변화
한국 사진가가 경고하는 몽골 사막의 급격한 기후변화 현재 몽골 인구의 25%는 유목생활을 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광활한 대지에 그들의 삶 대부분을 의지해서 살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기후변화가 풍광을 바꾸고 이들의 삶을 뒤흔들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850개의 호수와 2,000여 개의 강이 말랐고 몽골 대지의 약 25%가 사막으로 변했다. 이런 추세로 가다가는 수천년을 이어온 몽골의 전통은 사라질 수 밖에 없다. 한국 출신의 포토그래퍼 이대성은 몽골이 사막화되는 순간과 이러한 변화가 주민들에게 미칠 영향을 사진으로 담았다. 사진집의 제목은 '미래의 고고학(Futuristic Archaeology)'이다. 이대성은 파리의 박물관을 다녀온 후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그는 박물관에 보존된 전시품들이 이미..
2015.02.11